![[9보] 용인 구성 적환장 논란, 이상일 용인특례시장 해법에 시민 대다수 환영… 민주당 측은 침묵, ‘필요 시설’ 두고 소모적 논쟁 우려 / 김교민 기자](http://www.kkmnews.com/data/photos/20250730/art_17534988044679_bf2329.jpg?iqs=0.2938242481219905)
케이부동산뉴스 김교민 기자 | 용인특례시가 민선7기 시절 신갈적환장 폐쇄 결정에 따른 후속조치로 추진해 온 ‘구성 적환장’ 사업과 관련해, 민선8기 이상일 시장이 시민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기존 계획을 과감히 수정하며 논란을 정리하자 지역 주민 대다수는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반면, 그간 정치공세성 발언을 이어온 민주당 소속 시의원을 포함한 민주당 측은 할 말을 잃은 듯 침묵을 지키는 모습이다.
다만, 구성적환장에 설치될 차폐시설과 관련해서는 일부 소수 주민이 뒤늦게 반대 의견을 제기하고 있으나, 해당 시설은 시의 기존 계획에 포함돼 있었고 이상일 시장과의 소통 과정에서도 주민 대표들이 별다른 문제를 제기하지 않았던 사안이라는 점에서, ‘이해할 수 없는 뒷북 반대’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시는 내년 1월 1일부터 종량제 폐기물 직매립이 전면 금지되는 점을 고려해 구성·동백지역에서 2.5~5톤 트럭으로 수거한 종량제 폐기물을 25톤 트럭으로 옮겨 당일 반출하기 위한 목적에서 기존의 구성적환장에 밀폐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선 지난해 3월 시의회의 공유재산관리계획 심의도 거쳤고 관련 예산(올해 본예산과 1회 추경 예산)에 대해서도 시의회 동의를 얻었다. 차폐시설 설치는 구성적환장 사업의 기존계획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이상일 시장이 구성적환장 사업과 관련해 몇가지를 과감하게 수정한 해법을 제시하기 전에도 차폐시설에 대해서는 민주당 시의원이나 주민들이 문제 제기를 한 적이 없었다.

종량제 폐기물 반출을 위한 차폐시설은 기흥구에 소각장이 없기 때문에 꼭 지어야 하는 시설이다.
민선 7기 때 시는 기흥구 플랫폼시티 개발을 구상하면서 하루 300톤 처리 규모 소각시설을 플랫폼시티에 세우는 방안을 추진했다. 하지만 기흥구 주민들이 강력히 반대하자 2021년 1월 21일 인근도시인 광주시 광역소각장(190톤 규모)건설에 참여하기로 하고, 하루 50톤의 기흥구 종량제 폐기물을 보내 소각하겠다며 광주시와 협약을 체결했다.
시는 광주시 소각장 설치와 관련해 부담금을 내기로 했고, 2030년 광주시 소각장이 가동되면 구성ㆍ동백지역 종량제 폐기물과 플랫폼시티에서 나올 종량제폐기물을 보내 소각한다는 계획이다.
광주시 소각장이 가동되기 전에는 화성 등으로 종량제 폐기물을 반출해 민간위탁처리를 할 방침이며, 작은 트럭으로 수거한 종량제 폐기물을 큰 트럭으로 옮겨 당일 반출하기 위한 목적에서 기존의 구성적환장에 종량제 폐기물 환적을 위한 차폐시설을 짓는 것이다. 시는 이 시설을 속히 만들어야 내년 1월1일부터 종량제 폐기물의 원활한 처리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그럼에도 일부 주민이 느닷없이 차폐시설을 왜 짓느냐라며 시비를 걸고 나서자 "비록 소수의 사람들이라고 하지만 지역 이기주의가 심한 것 아니냐. 쓰레기를 안 버리고 산다면 몰라도 쓰레기를 배출하면서 '내 동네에 내가 버린 쓰레기도 두면 안 된다'고 말한다면 어느 누가 납득할 수 있겠느냐"는 등의 비판과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구성지역 통장 A씨는 "수지구와 처인구에는 소각장이 있는 반면 기흥구에는 소각장이 없다"며 "내년 1월1일부터 쓰레기 직매립이 금지되는 만큼 5톤 정도의 소형 트럭이 구성ㆍ동백 아파트 등을 다니며 수거한 종량제 폐기물을 밀폐된 곳에서 25톤 대형 트럭으로 그대로 옮겨 실은 뒤 당일에 화성 등으로 반출할 수 있도록 하는 용도의 차폐시설을 만드는 것을 반대한다면 콘크리트 바닥 위에서 종량제 폐기물을 환적하도록 놔두거나 구성ㆍ동백지역에 소각장을 지어서 알아서 처리하라는 반론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A씨는 "민선7기 때 시가 기흥구 플랫폼시티 사업구역 내에 소각장 건설을 추진했다가 기흥구 주민들의 반발에 부닥쳐 포기하고 광주시 소각장 사업에 참여하기로 하고 시설비 일부 부담해서라도 구성ㆍ동백지역 쓰레기를 그곳에서 소각하기로 한 것으로 아니냐"며 "구성ㆍ동백에서 나오는 종량제 폐기물을 2030년 광주시 소각장이 가동되면 그곳으로 보내고, 그 전에는 화성 등으로 보내 민간위탁처리를 하게 되는 데 이 일은 내년 1월1일부터 시작해야 하므로 차폐시설은 그 전에 지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동백지역 통장 B씨는 "이상일 시장이 플랫폼시티에서 발생할 종량제 폐기물을 그곳에서 감당하도록 하겠다고 한 것은 기존계획을 과감한 발상의 전환으로 수정한 것"이라며 "당초엔 2030년에 완성될 플랫폼시티의 종량제 폐기물을 구성적환장에서 일단 받고 나서 구성ㆍ동백지역 종량제 폐기물과 함께 당일 반출한다는 계획이었고, 시의회도 그걸 문제삼지 않았는 데 이상일 시장이 '플랫폼시티 것은 플랫폼시티에서'라는 원칙을 세우고 기존계획을 수정한 것은 구성ㆍ동백지역 주민 입장에서 매우 고마운 일"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B씨는 "이상일 시장은 플랫폼시티에서 나올 종량제 폐기물을 그곳에 적환기능을 둬서 처리하도록 했는데, 구성ㆍ동백지역에서 발생하는 종량제 폐기물을 구성적환장에서 감당하는 것을 반대한다는 게 말이 되느냐"며 "구성적환장 사업에 대해 이 시장이 주민 예상을 뛰어넘는 명쾌한 해법을 제시하자 정치적 의도에서 어떻게든 트집을 잡으려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들의 차폐시설 반대 논리는 사리에 맞지 않고, 동조하는 사람도 거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구성ㆍ동백 주민들이 이번 구성적환장 사업의 전모, 논란 종식 과정을 사실관계를 확인하며 찬찬히 살펴본다면 엉터리 정치선동에 휘둘리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했다.

이처럼 차폐시설 설치는 법적·환경적 필요성에 기반한 계획이자, 이상일 시장 취임 이후 주민 소통을 거쳐 재조정된 구성적환장 운영 방침의 연장선이라는 점에서 주민 다수의 공감을 얻고 있다.
실제로 통장단 등 지역 기반의 주민 대표자들은 "차폐시설은 상식적이고 불가피한 조치이며, 오히려 그동안 방치됐던 행정의 빈틈을 채우는 합리적 대안"이라며 지지 의사를 분명히 했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반대 주장에 대해서는 "정치적 선동에 불과하다", "사실관계를 왜곡하지 말라"는 반박도 잇따르고 있다.
구성·동백지역의 환경 문제 해결과 도시기능 정비를 위해선 실효적인 대안이 필요한 만큼, 무책임한 이기주의적 반대보다는 현실을 고려한 균형 잡힌 논의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관련기사 : 케이부동산뉴스(2024.3.26.) 용인특례시의회, 제281회 임시회 폐회... 2024년도 제1차 공유재산 관리계획안(수시분) [구성적환장 확충사업] 등 의결
관련기사 : 케이부동산뉴스(25.6.20.) [현안 진단] “소각장 아니라는데”… 용인시 기흥구 언남동 적환장 논란, 진실은 무엇인가
관련기사 : 케이부동산뉴스(25.6.21.) [2보] “몰래 소각장?”, “음식물 악취?”… 용인시 기흥구 언남동 적환장 논란 댓글 속 주장, 어디까지 사실인가?
관련기사 : 케이부동산뉴스(25.6.30.) [5보] 용인시 기흥구 언남동 적환장 논란 ‘왜곡된 서명운동’?… 일부 주민 “내용 모르고 서명했다”
관련기사 : 케이부동산뉴스(25.7.1.) [6보] 용인시 구성 적환장 논란, 주민대표 “이상일 시장 만나 소통 시작… 해결 기대 커져”
관련기사 : 케이부동산뉴스(25.7.11.) [7보] 용인 구성 적환장 논란, 이상일 용인특례시장 "시민 우려 해소"... 구성 적환장 계획 과감한 수정에 주민들 "환영과 감사"
관련기사 : 케이부동산뉴스(25.7.22.) [8보] 용인 구성 적환장 논란, 이상일 용인특례시장 “직접 시민 청원에 답합니다”… 지자체 집단 민원 해결 '모범사례’로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