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경기도의회 균형 무너졌다... 4·2 재보선 국민의힘 ‘쓴맛’, "보수 분열과 공천 실패가 패배 불렀다"

-. 군포·성남 모두 더불어민주당 승…낮은 투표율 속 조직력이 판가름
-. 군포4, ‘보수 후보 난립’이 자멸 자초
-. 성남6, 공천의 역풍?…안철수 책임론도 거론

 

케이부동산뉴스 김교민 기자 | 2일 경기도의회 의원 두 자리를 놓고 치러진 4·2 재·보궐선거에서 국민의힘은 군포4선거구와 성남6선거구 모두에서 더불어민주당에 패배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성복임(군포4), 김진명(성남6) 후보를 각각 당선시키며 팽팽했던 경기도의회 내 여야 균형을 무너뜨렸다.

 

이로써 도의회는 전체 156석 중 더불어민주당 78석, 국민의힘 76석, 개혁신당 1석, 무소속 1석으로 재편됐다. 더욱이 무소속 박세원 의원(화성3)이 민주당 복당 절차를 밟고 있어 민주당의 우위는 당분간 더욱 견고해질 전망이다.

 

이번 재보선 결과는 보수 진영의 내적 균열, 공천 전략 실패, 그리고 조직력 부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 군포4, ‘보수표 분산’ 자초…단일화 실패가 패인

 

군포4선거구는 민주당의 전통적 강세 지역이지만, 이번 선거에서는 보수 진영의 분열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국민의힘은 배진현 후보를 공천했지만, 보수 성향의 국민연합 소속 오희주 후보가 함께 출마하면서 표가 분산됐다.

 

특히, 국민연합 핵심 관계자는 과거 국민의힘 경기도당에서 전략기획 실무를 맡았다고 자처한 바 있어, 내부 균열이 선거 전부터 예고됐다는 해석도 나온다.

 

득표율에서도 그 결과는 뚜렷했다.

 

성복임 후보는 58.25%를 득표해 여유 있게 당선됐고, 배진현 후보는 37.56%, 오희주 후보는 4.17%에 그쳤다. 결국 보수 진영은 끝내 단일화에 실패하며 자멸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 성남6, 공천의 역풍?…안철수 책임론도 거론

 

성남6선거구에서는 국민의힘 이승진 후보가 46.61%를 얻으며 선전했지만, 더불어민주당 김진명 후보(53.38%)에게 패했다.

 

이 지역은 보수 지지세가 강한 지역으로 알려진 분당에서의 패배에 국민의힘 측은 적잖이 당혹스러운 모습이다.

 

특히, 안철수 의원의 지역구로 그가 공천 과정에 깊숙이 개입했다는 점에서 당내 책임론도 제기되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공천이 당내 통합보다는 계파 정리에 초점을 맞췄다”는 비판이 제기됐고, 이로 인해 보수 핵심 지지층의 민심이 이반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안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 표결 당시 당론을 거스르는 입장을 취해, 전통적 보수층의 불신을 자초한 바 있다.

 

이는 한미림 전 도의원 등 지역 기반을 갖춘 인물들이 공천을 신청했지만, 당은 참신함을 이유로 이승진 가천대 겸임교수를 단수 추천하면서 무리수를 둔 것이라는 지적이 있어 왔다.

 

결국, 조직력과 인지도가 약한 신인 전략은 전통적인 보수 지지층을 투표장으로 이끌지 못하고, 민주당의 탄탄한 조직력에 밀려 힘을 쓰지 못한 결과를 초래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 낮은 투표율, 결국 조직력이 당락 가려


이번 재보선은 전반적으로 낮은 투표율 속에 치러졌으며, 당락은 결국 조직력에서 판가름났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재보선은 일반 유권자보다는 당원·지인 중심 투표가 많은데, 이번에는 민주당 지지층의 결집력이 더 강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또한 “소규모 지역구일수록 후보의 인지도와 조직 기반이 관건인데, 민주당은 의장을 지낸 인물을 내세워 조직력을 극대화한 반면, 우리는 신인 중심 전략이 현실을 따라가지 못했다”고 자평했다.


이번 선거는 단순한 지역구 패배를 넘어, 국민의힘이 안고 있는 구조적 문제를 드러낸 결과이기도 하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보수 단일화 전략 조기 구축 ▲중앙-지역 간 소통 강화 ▲지방조직 체계 재정비 등 내부 혁신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 ‘보수 재편’ 현실화되나


이번 보궐선거는 단지 경기도의회 의원 두 석을 잃은 것을 넘어 전국적으로 국민의힘 패배로 드러나며 보수 진영의 균열과 위기감을 여실히 드러냈다.

 

특히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이 상태로는 내년 지방선거를 치를 수 없다”는 위기의식이 높아지고 있다.

 

국민의힘은 향후 공천 시스템 개선, 지역 기반 강화, 전략적 조직 운영 등 전면적인 체질 개선을 통해 다시 한 번 보수 표심을 결집시켜야 할 중대한 과제를 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