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월면장 조서 비공개? ‘탁 치니 억’ 데자뷔, 민중기 특검, 박종철 고문치사 은폐한 치안본부 닮아간다” 시사평론가, SNS서 강도 높은 비판

- 시사평론가 김석수 “단월면장 조서 비공개, ‘탁 치니 억’ 데자뷔”
- 1987년 박종철 고문치사 은폐 닮은 특검 태도 비판
- “권력의 오만, 다시 시민 항쟁의 불씨 될 수 있다”

 

케이부동산뉴스 김교민 기자 | 시사평론가 김석수 씨가 “민중기 특검이 1987년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은폐하려 했던 치안본부의 행태를 닮아가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김 평론가는 15일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민중기 특검놈들이 박종철을 죽인 치안본부를 닮아간다”며 “단월면장 조서는 ‘수사 중이라 공개할 수 없다’는 특검의 태도가 당시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던 치안본부의 발표와 너무도 비슷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자신들은 관계없다는 식으로 의문사를 뭉개고, 수사를 계속하겠다는 오만한 태도”라며 “권력기관의 이 비인간적 오만이 한 공직자를 죽음으로 몰았다”고 비판했다.

 

◆ “박종철 사건, 1987년 항쟁의 불씨였다”

 

김 평론가가 언급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은 1987년 1월, 서울대생 박종철 씨가 경찰 조사 중 고문으로 사망한 사건으로, 당시 경찰은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는 발표로 사건을 축소·은폐하려 했다.

 

하지만 천주교 정의구현사제단의 폭로로 진실이 드러나면서 국민 분노가 폭발했고, “박종철을 살려내라”, “독재를 타도하라”는 외침이 전국으로 확산되며 6월 민주항쟁의 도화선이 됐다.

 

그 결과, 국민 저항은 군사독재 종식과 대통령 직선제 개헌으로 이어졌다.

박종철의 죽음은 권력의 폭력에 맞선 시민의 각성을 상징했고, ‘진실 은폐는 곧 정권 붕괴의 서막’이라는 교훈을 남겼다.

 

◆ “역사의 경고가 다시 울린다”

 

김 평론가는 이 같은 역사적 사건을 거론하며 “권력의 오만이 또다시 정의를 짓밟는가”라고 반문했다.

그는 “박종철의 죽음이 87년 항쟁의 불씨가 되었듯, 만약 이번에도 공권력이 진실을 은폐하고 국민의 분노를 무시한다면 그 불씨는 다시 시민의 항쟁으로 번질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특검이 ‘조사는 진행 중’이라는 말 뒤에 숨는다면, 국민은 더 이상 그 말을 믿지 않을 것이다.

진실을 밝히려는 용기가 사라진 순간, 권력은 스스로 무너진다”고 덧붙였다.

 

 

 

◆ 단월면장 사건, 새로운 분기점 될까

 

양평군 단월면장 고(故) 정희철 씨가 민중기 특검팀 조사 후 숨진 채 발견된 사건은 정치권 전반에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국민의힘은 “특검의 강압수사가 공직자를 죽음으로 내몰았다”며 ‘진상규명 특검법’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반해 특검 측은 “고인의 사망과 수사 간 인과관계가 없다”며 “수사 중인 사안으로 구체적 내용은 밝힐 수 없다”고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하지만 시민사회 일각에서는 “87년의 비극이 2025년의 현실로 되살아나고 있다”며 “정치권의 책임 회피와 진실 은폐가 지속된다면, 이 시대의 박종철은 또다시 국민의 분노 속에서 부활할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은 1987년 시민항쟁의 도화선이 되었고, 그로부터 38년이 지난 지금, 다시금 ‘권력의 폭력과 은폐’라는 단어가 공론장에 등장하고 있다.

 

김석수 평론가의 지적은 단순한 비유가 아니라, “역사는 언제든 되풀이될 수 있다”는 냉정한 경고다.

 

그 경고가 이번에도 시민의 항쟁으로 이어질지, 혹은 권력이 스스로 성찰할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는 또 한 번 갈림길에 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