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 리디자인이 아니라 리터치” … 감사 적발 속 경기아트센터 ‘개편 쇼’ 논란 확산

- 25건 이상 비위 적발에도 ‘혁신’ 반복… 전과자 감사실장 임명에 조직 신뢰 바닥
- 노조 “윤리를 감시할 자리에 비윤리 인사”… 내부선 “겉치레 개편” 비판
- 갑질 제보엔 전직원 이메일 공유… “신뢰보다 체면 챙긴 개편 쇼”

 

케이부동산뉴스 김교민 기자 | ‘정체성을 리디자인하겠다’는 선언과 달리, 경기아트센터가 스스로 신뢰 위기를 키우고 있다는 비판이 거세다.

 

최근 1년 사이 20건 이상 비위·부정 사례가 감사에 적발된 데다, 형사처벌 전력이 복수로 확인된 인물을 감사실장으로 기용했다는 논란까지 불거지며 “조직 개편은 겉치레”라는 비난이 이어지고 있다.

 

경기아트센터는 7월 23일(화) 김상회 사장 주재 ‘미디어데이’를 열고 “공공성·예술성·지속가능성을 통합한 새 정체성” “ESG 경영·수평적 조직문화” 등을 골자로 한 조직 개편과 콘텐츠 혁신 비전을 발표했다. 그러나 발표는 슬로건 중심의 선언에 그쳤고, 직전 감사에서 확인된 내부 문제에 대한 재발 방지 대책은 제시되지 않았다.

 

 

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조 경기아트센터지부는 즉각 성명을 통해 “윤리를 감시할 자리에 비윤리 논란 인사를 앉힌 결정이 개편의 진정성을 무너뜨렸다”며 책임 있는 조치를 촉구했다.

 

한 내부 직원은 “이건 리디자인이 아니라 리터치(덧칠)”라며 “부패·무능·갑질을 반복시키는 구조는 놔둔 채 외형만 바꾸는 건 기만”이라고 비판했다.

 

◆ 반복된 감사 적발… 윤리 통제 ‘사각지대’

 

경기도는 2024년 2월 종합감사에서 금품 수수, 부당 업무지시, 이해충돌 등 20건의 위반을 적발했다.

 

이 과정에서 징계 13명, 훈계 21명, 수천만 원 환수 조치가 내려졌다. 앞서 2023년에도 유사한 지적이 있었던 점을 감안하면, 재발 방지 장치가 실효적으로 작동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문화계 한 관계자는 “이 정도 반복이면 공공기관의 기본 요건을 다시 점검해야 할 수준”이라며 “이 상황에서 ‘콘텐츠 혁신’을 외치는 건 껍데기 바꾸기에 불과하다”고 했다.

 

◆ 갑질 제보 대응 파장… 전 직원 이메일 공유


직장 내 갑질 제보에 대한 대응도 도마 위에 올랐다.

 

특정 간부의 사적 지시 의혹이 외부 유튜브 채널을 통해 제기되자, 해당 내용이 전 직원에게 이메일로 공유됐다.

 

내부에서는 “제보자 특정 시도로 비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고, 인권단체들도 부적절성을 지적했다. 이후 해명과 내부 감사가 진행됐지만 제보자 보호 장치가 미흡했다는 비판은 수그러들지 않았다.

 

그럼에도 김 사장은 미디어데이에서 “예측 가능한 노사관계, 수평적 조직문화”를 강조해 현실과의 괴리 지적이 뒤따랐다.

 

 

◆ 콘텐츠보다 시급한 건 ‘운영 리디자인’


아트센터는 하반기 런던 필하모닉 초청 공연, K-콘텐츠 페스티벌, 광복 80주년 기념 행사 등 대형 프로그램을 예고했다.

 

그러나 신뢰를 상실한 운영 체계가 그대로라면 공공 콘텐츠의 공공성·투명성도 의심받을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크다.

 

한 문화정책 전문가는 “지금 필요한 리디자인은 공연 편성이 아니라 거버넌스와 내부통제 시스템”이라며 “윤리·투명성·책임성을 담보하지 못한 개편은 공공기관 신뢰만 갉아먹는다”고 말했다.